천안함 사건의 여파로 지난해 5월 차단됐던 남북 판문점 채널이 7개월여 만에 복구됐다.

12일 오후 통일부 관계자는 “12시 15분부터 10분간 남북 연락관 간 업무개시 통화가 이루어졌다”고 확인했다.

지난 10일 북한은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 명의의 통지문을 대한적십자사 총재 앞으로 보내와 1월 12일부터 판문점 적십자 연락통로를 다시 열자고 제의했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9시 경에 북측이 판문점 연락업무 재개를 위한 통신선로 점검 등을 요청해 왔기 때문에 지금 남북한 통신기술자간에 선로점검 등 기술적인 사안에 대한 검점을 진행 중에 있다”며 “이 점검이 완료가 되면 북측 연락관이 우리 측에 통화를 해옴으로써 연락업무가 재개될 것으로 판문점-적십자 간의 연락업무가 다시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판문점 적십자 채널은 남측이 천안함 사건의 책임을 물어 남북 관계를 단절한 ‘5.24조치’를 내놓자 북측이 이에 대한 맞대응으로 5월 26일부로 단절시키고 인원을 철수했다. 통상 판문점 ‘적십자’ 채널로 불리는 판문점 연락사무소 채널은 남측 평화의집과 북측 통일각을 잇는 전화와 팩스 회선으로 실제로는 남북 당국간 공식 채널이며, 남측의 경우 통일부에서 운용하고 있다.

이 부대변인은 “우리 측은 북측이 판문점 연락업무를 중단한 이후에도 현재까지 판문점 연락사무소에서 계속 근무를 해왔다”며 “우리 측은 북측 연락관이 직통전화를 통해서 연락을 해올 경우에 이에 응답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남북연락관간 업무를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북측 연락관이 우리 측에 직통전화를 통해 연락업무를 해오게 되면, 이 계기에 ‘이런 식으로 연락채널이 일방적으로 중단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북측에 전달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북측이 12일부터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정상운영한다고 통지한데 대해 이종주 부대변인은 “우리측 인원은 오늘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로 복귀하기 않겠다는 입장도 다시 전달했다”고 확인하면서, 11일 오후 개성공단관리위원회를 통해서 남측의 입장을 북측에 구두로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 대해 이 부대변인은 “북한의 천안함 폭침 이후에 우리 측이 취한 5.24 조치로 남북경협이 현재 중단되어 있는 상황”이라며 “ 5.24 조치는 여전히 유효하고, 여전히 지속 중에 있기 때문에 남북경협협의사무소를 통해서 지원해야 할 남북경협과 관련된 업무가 사실상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북한이 남북간 합의에 의해서 개소했던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벌써 두 차례나 일방적으로 문을 닫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며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가 재개되기 위해서는 북측이 이와 같은 조치를 되풀이하지 않고, 또 현지에서 근무하고 있는 우리 측 인원의 신변이 충분히 보장되고, 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반 편의가 제공된다는 등의 사항도 다시 확인될 필요가 있다”고 이른바 ‘신변 안전 보장’을 강조했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는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의 업무를 재개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