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5)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구릿대, 봄. [사진 - 정관호]

                                                       구릿대

                                               다 자라면
                                               어른 키를 넘는 준수한 풍채 

                                               소담스러운 그 줄기와 이파리
                                               따서 씹으면
                                               그윽한 향기와 맛

                                               흰 꽃이 활짝 피면
                                               여러 개의 우산을 펼친 듯

                                               으레 벌들이
                                               모여들어 꿀샘 빨기 부산하고 

                                               보아서 푸짐하고
                                               쓰임이 두루 넓어서
                                               넉넉하고 대범한 풀 구릿대.

▲ 구릿대, 여름. [사진 - 정관호]

▲ 구릿대, 가을.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구릿대는 산골짜기 냇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른 키를 훌쩍 넘는 높이로 자란다. 줄기는 굵고 이파리는 깃골겹잎(羽狀複葉)인데, 구렁이가 입을 벌린 듯한 타원형의 잎집(葉鞘)에서 가지나 꽃줄기가 나온다. ‘구릿대’라는 이름은 이 잎집 생김새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7~8월 경에 겹우산꽃차례의 흰 꽃이 둥글게 모여서 피고, 씨에는 날개가 있다. 뿌리가 한약재인 백지(白芷)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