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대변인 담화를 통해 남북 당국간 회담 등을 공식 제의한데 대해 우리 정부는 “공식 대남 대화 제의로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약간의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날 오후 통일부 관계자는 “형식상 조평통 대변인 담화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밝힌 것이므로 공식적인 대남 대화 제의로 보기는 어렵다”며 “우리 정부가 공식적 입장을 밝힐 예정은 없다”고 말했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조평통 대변인 담화라는 형식은 연합성명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본다”며 “조금 더 구체적인 사항들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북한 태도를 지켜보면서 검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측의 이번 조평통 담화가 지난 5일 북한 정부.정당.단체 연합성명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에 역시 ‘대남 통일전선전술 공세의 일환’으로 파악한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당국자는 “이번 담화는 좀더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니까 그 의도와 배경을 좀더 면밀히 검토해 보겠다”며 “앞으로 북한의 태도라든지를 보아가면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정부의 다소 전향적 반응은 이날 담화가 지난 5일 연합성명에 비해 남북회담 형식과 일정, 장소 등까지 제시하는 등 보다 구체성을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판문점 적십자 통로를 재가동하고 개성공단 내에 있는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경협사무소) 동결을 해제하는 실천 행동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당국자는 “판문점 연락과 채널은 북측이 우리의 5.24조치 이후 일방적으로 단절시켰지만 우리측 연락관이 매일 출근하고 있다”며 “북측이 자신들이 뽑았던 코드를 다시 꼽겠다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한 개성공단 내 경협사무소에 대해서는 “북측이 5.24조치 직후 우리측 경협사무소 직원을 추방해 나와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는 “자기들 마음대로 나가라고 했는데, 확실하게 신변안전을 보장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공식적인 대화 제의나 대남 제안으로 보고 하나하나 검토하겠다거나 입장을 정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북한의 추가 조치와 태도를 지켜보면서 계속 검토해나가겠다”고 말해 여지를 남겼다.

(추가, 15:27)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