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통일부 관계자는 “어제 북한의 연합성명에 대한 기본 입장은 진정성 있는 남북대화 제의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밝히고 “북한의 연합성명은 2007년까지 연례적으로 나오던 것으로 통일전선전술 차원의 대남공세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북한은 2007년까지 매년 신년공동사설이 발표된 뒤 1월 말경 정부.정당.단체 연합회의를 갖고 연합성명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 등을 제시한 바 있기 때문에 올해의 연합성명도 그 연장선상으로 파악한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정말 당국 차원의 대화를 제안하려고 했다면 공식적인 절차나 형식이 있다”며 “공식적인 대화 제의가 아니기 때문에 검토할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다만 “왜 이 시점에서 이런 내용으로 몇 년간 발표하지 않았던 연합성명 형식으로 발표했는지 의도나 배경은 계속 검토해 볼 것”이며, “어떤 다른 조치로 연결될지 관심있게 지켜보겠다”고 말해 여지를 남겼다.
‘북측이 어떻게 해야 진정성을 인정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작년 천안함.연평도 사건 등 여러 도발적 행동에 대한 책임있는 태도를 보이고, 이같은 일이 반복 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면서 “그렇다고 북한의 진정성 있는 태도 변화가 무엇무엇이라고 특정해서 리스트를 만든 것은 없다”고 답했다.
“연합성명이 신년사설의 톤을 이어가며 대남정책을 구체화하고 있지만 이런 레토릭(수사)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제 다르구나’하는 생산적 대화의 가능성, 태도 변화를 북한이 보여줘야 하는데, 거기에 미친다고 보긴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6일 오전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진정성 있는 제안이라기보다는 홍보전술로 본다, 진지한 제안으로 보지 않는다라고 모든 해외언론들이 그렇게 분석을 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행동으로 대화에 대한 진정성을 먼저 확인해야한다”고 역시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북한의 진정성이 확인되면 6자회담을 검토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고 이에 대해서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국 5개국간에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북측이 신년공동사설에 이어 이례적으로 2008년부터 사라진 정부.정당.단체 연합성명을 연초에 발표해 남측 당국과의 무조건적 대화를 중대제안 형식으로 제시한데 비해 남측 정부의 반응은 아직 냉기가 가시지 않아 북측의 후속조치 여부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북측은 5일 연합성명에서 “실권과 책임을 가진 당국사이의 회담을 무조건 조속히 개최할 것을 주장한다”면서 “당면하여 우리는 북남관계개선의 분위기조성을 위해 서로의 비방중상을 중지하며 상대방을 자극하는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을 제기한다”고 제안했다.
(추가, 14:10)
관련기사
김치관 기자
ckkim@tongilnews.com


그런 느낌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