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개미취. [사진-정관호]

                                                        개미취

                                               길고 넓적한 어린 잎은
                                               맛이 좋은 봄나물

                                               어른 키만큼 자란 가을에는
                                               연자주 꽃송이 곱고

                                               가을 산야를 수놓는
                                               들국화 무리의 한 종(種)

                                               취나물 붙이 가운데서
                                               꽃이 아름답기로는 으뜸

                                               잘 다듬어 가꾸면
                                               관상용 꽃무대에 올릴 만

                                               공원 녹지에 무리로 심는
                                               동생 뻘 벌개미취가 있다.

▲ 개미취, 어린 잎. [사진-정관호]

▲ 벌개미취. [사진-정관호]

도움말

개미취는 별칭 ‘자원’이라고도 불리며 산골짝 추진데를 좋아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서 어른 턱높이 정도까지 자라며, 위에서 잔가지를 친다. 이파리는 주걱 모양인데 밑 부분은 날개가 되고, 꽃이 필 즈음이면 아랫잎이 말라버린다. 7~10월에 걸쳐 연자주색 꽃이 우산 모양으로 모여 피는데 아주 푸지고 오래 간다. ‘-취’라는 뒷가지를 가진 여느 풀처럼 봄에 어린 순은 먹는다. 꽃이 더 크게 달리는 벌개미취는 형제종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