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참빗살나무, 봄. [사진-정관호]

                                               참빗살나무

                                     무릇 결실은 성장의 총화요
                                     열매를 터트림은 내년을 기약하는
                                     저 참빗살나무의 작별 인사다

                                     인고의 여름 역사를 마치고
                                     늦가을 된서리가 신호라도 되는 듯
                                     축적된 겸손이 드디어 이마를 찢고
                                     새빨간 씨알 알갱이를 내뱉는다
                                     그 이리따움에 보석이 부끄럽고
                                     그 현란함에 보는 눈이 부시다

                                     새들이 쪼려고 모여들리라
                                     바람이 점잖게 쓸며 흔들리라
                                     눈이 내려 덮이면 더 처연하겠지

                                     우리의 지성(知性)도 저렇듯 여물어서
                                     말년의 재말랭이에 올라섰을 때
                                     환희의 송가로 폭발할 수 있었으면.

▲ 참빗살나무, 가을 열매. [사진-정관호]

▲ 좀참빗살나무. [사진-정관호]

▲ 참회나무. [사진-정관호]

도움말

참빗살나무는 산에서 자라는 갈잎중간키나무로 8미터 정도까지 자란다. 수피(樹皮)가 세로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지난해 자란 가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우산꽃차례의 송이에 연녹색 꽃을 피운다. 열매는 넓적둥그스룸하면서 약간 네모가 지며 분홍색으로 익는다. 그 씨껍질이 다시 갈라지면서 빨간 씨를 토해내는데 매우 아름답다. 이파리가 좀 작은 종(種)에 좀참빗살나무가 있고 회나무ㆍ참회나무ㆍ나래회나무 들이 다 일가붙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