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한라구절초. [사진-정관호]

                                                  한라구절초

                                              그물 모양의 잎
                                              마디게 자라는 줄기 

                                              살찐 땅보다 메마른 땅을
                                              낮은 들보다 높은 산을
                                              교요보다 바람을
                                              더 좋아하는 꽃

                                              이 강역 끝이 고향이라선지
                                              나중에 피고
                                              마감을 맺는 생리

                                              분홍으로 봉오리 벌어
                                              새하얗게 지면을 덮는 품성

                                              추운 북쪽에서도 거뜬
                                              다른 꽃들과도 잘 어울려

                                              자랄 때 풀방석
                                              꽃필 때 꽃방석 
                                              막내 귀염동이 한라구절초.

▲ 한라구절초. [사진-정관호]

▲ 낙동구절초. [사진-정관호]

▲ 산구절초. [사진-정관호]

도움말

한라구절초는 많은 구절초 종(種) 가운데 유별나게 한라산 높드리에 자생하는 이 땅 특산종이다. 어긋나는 잎은 깃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진다. 얼핏 산구절초 잎을 떠올리게 되는데, 그보다 더 가늘고 두껍다. 다른 구절초보다 늦게 꽃이 피며, 봉오리 때는 분홍색이다가 피면서는 희게 보인다. 이밖에 고장 이름을 얹은 구절초가 여럿 있다. (‘구절초’에 대해서는 본 연재물 제18고에 언급했음.)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