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저녁에 발표된 담화는 “적들은 우리를 자극시키지 않기 위해 섬에서 남쪽방향으로 포사격을 했다고 변명하고 있지만 연평도는 해상군사분계선으로부터 우리측 영해안으로 깊숙이 들어와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하여 그곳에서 포실탄 사격을 하면 어느 방향으로 쏘든 포탄은 우리측 영해안에 떨어지게 되어있다”고 주장했다.
담화는 “사건당일인 23일 오전 8시 북남군사회담 우리측 단장은 적측 단장에게 예민한 지점인 연평도일대에서의 포사격계획을 중지할 것을 다시한번 강력히 촉구하는 전화통지문을 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들은 끝끝내 13시경부터 연평도에서 우리측 영해에 수십발의 포사격을 가하는 극히 무분별한 군사적 도발을 감행하였다”며 “빈말을 하지 않는 우리 군대는 즉시 적들이 실탄사격을 감행한 포진지들을 강력히 타격하는 자위적 조치를 취하였다”고 정당성을 주장했다.
또한 “남조선의 하많은 산천과 바다, 섬들을 두고 하필이면 육안으로도 서로 마주 보이는 우리 코앞의 섬에서 기어이 포성을 울리고 화약내를 피운 적들의 처사야말로 고도의 정치적계산이 깔린 도발이 아닐 수 없다”고 남측의 ‘정치적 의도’를 부각시켰다.
담화는 “적들이 노린 속심은 우리의 물리적 대응조치가 없는 경우 우리가 섬의 주변수역을 저들의 ‘영해’로 인정했다고 오도하려는데 있었다”며 “이번 사건은 조선정전협정이 체결된 후인 1953년 8월 30일 ‘유엔군’ 사령관 클라크가 제멋대로 일방적으로 그어놓은 불법무도한 ‘북방한계선’ 때문에 초래된 또 하나의 위험천만한 사태발전”이라고 NLL(북방한계선)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담화는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귀중히 여기는 우리는 지금 초인간적인 자제력을 발휘하고 있지만 정의의 수호자인 우리 군대의 포문은 아직 열려있는 상태”라고 경고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