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평도 피해현장.[사진제공-옹진군청]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건'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여부에 대해, 정부가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24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유엔 안보리에 가져가는 문제는 지금 현 단계에서는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사령부가 북한측에 장성급 회담 개최를 요구했으니 일단 그 추이를 보자는 것이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한국 주재 각국 대사관 및 우리측 재외공관 등을 통해 각국에 상황을 설명하고 비난성명을 요청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 호주, 일본 등이 이미 비난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다른 당국자는 정부 분위기를 보다 분명하게 전했다. 그는 "이 문제는 안보리 가져가서 규탄한다고 해서 해결된다고 볼 수 없다"면서 "양자 간의 문제"라고 잘라 말했다. 또 "천안함과도 다른 게, 천안함 사건 시에는 북한이 자신의 소행임을 부인했다. 그래서 국제적 논란이 있었던 것이나 이번 건은 사실 여부도 명백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명백한) 양자간 사안은 군사회담 같은 방법으로 풀어야 하는데, 마침 유엔사가 장성급 회담을 열자고 제의했다"고 지적했다. 우선은 유엔사-북 인민군 판문점 대표부 간의 회담이나 남북 군사회담 등을 통해서 문제 해결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인식이고 이미 그런 절차를 밟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한 외교소식통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나서고 있고, 많은 나라들이 규탄해서,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북한이 연평도 포격사건을 일으킨 이유로 든 '해상경계선 문제'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그동안 계속 거론해온 서해상에 대한 자기(북한)들 논리를 십분 이해해도, 이번 건은 우리는 바다를 향해 쏘고 훈련했는데, 그들은 육지로 향했고 민간인이 다쳤다"고 짚었다. 더욱이 인명 피해까지 발생한 상황에서는 어떤 이유로든 북한의 행동이 정당화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한.미가 연합위기관리체제를 가동 중이라고 24일 오전 합동참모본부가 공식 확인했다. 만약 한미위기관리가 선포될 경우, 현재 평시 수준인 4단계를 유지하고 있는 대북방어준비태세인 '데프콘'을 3단계로 한 단계 격상하는 방안이 협의된다. 데트콘 3단계는 전시상황이므로,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이 합참에서 한미연합사로 넘어가게 된다.

(2보, 오후 2시)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