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복자기. [사진 - 정관호]
복자기
이름이 조금 낯설은 까닭은 깊은 산에서 자라기 때문
그 홍엽의 아름다움을 반기려고 요즘은 평지 공원으로 끌어내려 조경수로 많이 심게 되었다
생김새나 열매 날개로 보아 틀림없는 단풍나무 족속인데 같은 패거리의 그 어떤 나무보다 가을에 드러내는 색깔이 곱다
거기다가 키가 훨씬 커서 산야를 내려다보는 나무 자세가 과시 가을의 왕자다운 풍모다
나도박달나무라는 애칭 만큼이나 재질이 단단하고 무늬가 고와서 고급용재로 귀하게 쓰인다
잎이 좀더 가늘면서 긴 복장나무는 그와 사촌 간이다.
▲ 복자기, 나무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복자기, 이파리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복장나무. [사진 - 정관호]
▲ 복장나무, 이파리 생김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복자기는 심산에서 자라는 갈잎큰키나무(落葉喬木)인데 ‘나도박달나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키가 훨씬 높이 자라 15미터 정도까지 이르는데, 성장이 느린 만큼 재질이 단단해서 고급용재 감으로 꼽힌다. 그런데 가을에 아주 곱게 물들기 때문에 근년에는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다. 수피(樹皮)는 벗겨지고, 이파리는 3출엽인데 작은잎에는 2~4개의 큰톱니가 있다. 비슷한 생태의 형제종에 ‘복장나무’가 있는데, 수피가 매끈하고 작은잎에 잔톱니만 있는 것으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