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솔체꽃. [사진 - 정관호]

                                            솔체꽃

                                     이 세 가지 색깔을
                                     어찌 드러낼까
                                     이파리와 꽃과 갠 하늘과 

                                     산은 높지막
                                     창공은 탁 트인 푸르름
                                     싱그러운 청자색 꽃

                                     구름 두둥실 떠가다가
                                     인사를 건네면
                                     꽃망울이 끄덕

                                     나비 나풀 벌 잉잉
                                     이리저리 누비면 
                                     꽃 시울이 벌름 

                                     허공을 가로지르는 
                                     새들의 지저귐은
                                     공으로 듣고

                                     늦여름 건들바람에 일렁이며 
                                     이리 흔들 저리 흔들
                                     벙거지 솔체꽃.

▲ 솔체꽃,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체꽃.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솔체꽃은 깊은 산 풀밭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키는 30~80센티 정도로 자라며 잎은 깃꼴인데 위로 올라갈수록 깊게 갈라진다. 8~9월에 걸쳐 줄기 끝에 둥근 모양의 꽃이 피는데, 가장자리에는 혀꽃이 돌려 나고 가운데는 통꽃이 자리한다. 꽃 색깔은 산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데, 푸른자주색이 기본인 듯하다. 이 속(屬)의 맏이 격인 체꽃은 잎이 더 가늘게 갈라진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