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마타리. [사진 - 정관호]


                                           마타리

                              가을을 재촉하는 선두주자
                              껑충 높이 자라서 키꺽다리
                              노랗게 피어 활개를 펼치면 
                              바람이 없어도 이마가 서늘하다 

                              산과 열린 들 어디서나
                              숨을 죽이고 조용히 살다가
                              사추기(思秋期)라는 것도 있는양
                              불꾼 솟아서 그 존재를 알린다

                              많은 풀꽃들이 봄을 다투어
                              사오월이면 거의 꽃을 피우건만 
                              너는 느지감치 다 갖추고 나서
                              활짝 우산꽃을 펼치는구나

                              큰 그릇은 늦게 이룬다더니
                              네가 그런 깜냥을 타고났는지
                              굳이 앞을 다투어 내닫지 않고
                              때가 되면 의젓함을 보이는구나 

                              가까운 일가붙이가 많지 않지만
                              낮은 키 다소곳한 금마타리 
                              중부 이북 산에 사는 돌마타리
                              정담도 오손도손 마타리 삼형제.

▲ 마타리,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금마타리. [사진 - 정관호]

▲ 금마타리,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돌마타리.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마타리는 볕이 잘 드는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키가 큰 마련으로는 줄기가 곧게 서며 위에서 잔가지를 친다. 잎은 깃골겹잎(羽狀複葉)이며 낱낱의 소엽에도 진톱니가 있다. 늦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줄기와 가지 끝에 노란 우산꽃이 촘촘히 모여 핀다. 그 일렁거림이 가을을 재촉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해서 가을꽃으로 꼽힌다. 바위에 붙어서 피는 돌마타리, 산 높은 데를 좋아하는 금마타리 들이 같은 속(屬)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