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매발톱나무. [사진 - 정관호]


                                           매발톱나무 

                                 작명가 할아버지들은 
                                 초목이 가시를 가지면 으레껏 
                                 매발톱을 더올리셨나 보다

                                 그런데 이 나무의 가시는
                                 매발톱이 무색할 만큼 날카롭고
                                 어린 가지의 그것은 완연한 무기다

                                 우리 농가나 여염집 들에서
                                 곡식 선반니나 평상 다리 같은 데에
                                 미늘쇠를 돌려 박아서 쥐를 막는
                                 그 지혜는 여기서 배운 것이 아닐까 

                                그런데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맺히는 노란 꽃은
                                들쥐나 뱀이라도 탐낼 만하고 

                                가지런히 바투 심어서
                                생울타리로 만들기에 꼭 알맞는 키

                                그늘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도 잘 견디는 성질 
                                더 가까이 가져와도 좋을 그런 나무다.

▲ 매발톱나무, 열매. [사진 - 정관호]

▲ 왕매발톱나무. [사진 - 정관호]

▲ 섬매발톱나무. [사진 - 정관호]

▲ 섬매발톱나무의 가시.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매발톱나무는 산 기슭이나 중턱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로 1~2미터 높이로 자란다.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 포기를 이루는데, 턱잎(托葉)에 매 발톱처럼 생긴 날카로운 가시가 있어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꽃은 오뉴월에 노랗게 피며, 잎 겨드랑이에 송이처럼 아래로 매달린다. 열매는 타원형 물렁열매(漿果)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가지가 빽빽히 퍼지므로 생울타리 감으로 알맞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