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자귀나무. [사진 - 정관호]

                                         자귀나무 

                          신랑 신부 등촉 끄고 자리에 들면
                          신방 뒤꼍 담장에 기대어 
                          저도 이파리 고이 접고
                          밤톨 꿈을 꾸소서 축원드리는 나무

                          제 짝 끼리 마주 붙안고
                          홑으로 남는 잎이 없대서
                          합환목이라고도 불리는 오랜 나무 

                          공작새가 한껏 꼬리를 펼친 듯
                          온 나무가 부채춤이라도 추는 듯 
                          그 화사한 분홍 꽃차례로 하여
                          한여름 녹지는 환한 꽃잔치

                          본시 산나무건만
                          성장에 따른 농가월령*이 마련될 만큼 
                          우리 삶의 한복판에 내려앉아
                          계절의 지표가 되어온 나무

                          가을에 꼬투리가 익어 
                          서로 부딪혀 달그락거리는 소리를
                          선인들은 여인네 입마실로 견주어
                          익살맞은 별명까지 지어주고

                          하지만 어디까지나 여름나무
                          땡볕 아래 일렁이는 꽃술이
                          천둥 번개 소나기를 부르면서
                          계절의 수레바퀴를 꼭 붙잡고 있다.

                                                        * 자귀나무가 싹이 트면 서둘러 곡식을 파종
                                                           하고, 꽃이 피기 시작하면 밭에 밭 씨를 뿌 
                                                           리는 등, 자귀나무의 성장과 농삿일의 차례
                                                           를 연관지어왔다는 뜻임.

▲ 자귀나무,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자귀나무, 열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자귀나무는 산기슭이나 계곡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이고 합환목(合歡木) 또는 여설목(女舌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파리는 짝수깃골겹잎(偶數羽狀複葉)인데 밤에는 오므라들고, 꽃은 초여름에 연분홍색으로 핀다. 화사하게 펼쳐지는 그 털꽃은 수술 모임이고, 꽃철도 길어서 정원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다. 열매느 꼬투리로 익고, 나무 껍질은 약재로 쓰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