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비비추. [사진 - 정관호]

                                             비비추 

                                     숲이건 길이건 
                                     늘 가장자리서 만나게 되는 풀 

                                     가지런한 이파리는 총총 
                                     한쪽으로 얼굴을 돌리고 

                                     높이 솟는 꽃대는 깃대 
                                     내건 꽃깃발도 한쪽으로 나부껴 

                                     해를 흠모해서인가 
                                     찾아오는 이를 반겨서인가 
                                     그 갸륵한 성미 

                                     일부러 화단에 가꾸는 이들도 
                                     가장자리에 줄지어 심으니 
                                     그대 성정을 헤아려서인 듯 

                                     겸손하면서 굳세고 
                                     섬세하면서도 날씨를 타지 않고 
                                     미덕이 한두 가지가 아니니 

                                     도심에서까지 자주 보게 되는 
                                     모든 이의 마음 다스리는 꽃.

▲ 비비추,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비비추, 씨. [사진 - 정관호]

▲ 주걱비비추. [사진 - 정관호]

▲ 흰무늬비비추. [사진 - 정관호]

▲ 원예종 비비추.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비비추는 산 골짝 추진 데를 좋아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입맥이 뚜렷하다. 초여름에 약 40센티쯤의 꽃대가 솟고, 그 한쪽으로 줄지어 층층 종 모양의 자주색 꽃을 피운다. 꽃잎은 여섯 가닥, 꽃술이 밖으로 길게 뻗는다. 요즘은 녹지나 공원 등지에 식재되어 만나기 쉽다. 형제 뻘의 종(種)들이 많고, 수입종이나 원예종으로 개발된 것도 여럿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