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해당화. [사진 - 정관호]

                                           해당화 

                                  십리 밝은 모래톱에서
                                  사리 조금 늘 지켜보고 
                                  짠 갯내 맡으며 자라는
                                  바다의 찔레 해당화야

                                  해풍 거센 모래 언덕을 
                                  베개 삼아 울타리 삼아
                                  짙붉게 또는 새하얗게
                                  꽃을 피우는 가시 꽃나무

                                  일제 강점기에도 굳세게
                                  노래 가사로 문학 제재로
                                  겨레의 얼을 지켜왔건만
                                  지금 어디서 너를 만나랴

                                  고달팠던 민초의 친구
                                  실향한 떠돌이의 그리움
                                  눈물과 한숨으로 큰 나무
                                  아픈 가슴으로 보듬고 싶어

                                  줄로 뻗고 덤불로 자라
                                  꽃철에는 진한 향기 번지고 
                                  방울진 열매도 아름다운 
                                  그 나무 그 떨기 그리워라.

▲ 해당화,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흰해당화. [사진 - 정관호]

▲ 해당화, 열매. [사진 - 정관호]

▲ 붉은인가목.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해당화는 바닷가 모래땅을 좋아하는 갈잎좀나무인데, 해수욕장 개발로 조금은 보기 힘든 처지에 놓여 있다. 온 몸에 가시가 많고 잎은 두꺼우며 잎맥이 뚜렷하다. 이 꽃나무를 보지 못한 사람도 그 이름은 들어서 알고 있을 정도로 우리에게 친숙한 터다. 향기 짙은 꽃은 여름 내내 피는데 가지 끝에 붉게 또는 희게, 하나 또는 두셋씩 달린다. 열매는 가을에 접어들면서 붉누르게 익으며, 흰해당화도 그렇게 익기는 마찬가지다. 비슷한 것에 인가목이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