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산수국. [사진 - 정관호]

                                              산수국

                                쨍쨍 내리쬐는 볕보다는
                                큰나무 아래 그늘받이에서
                                새어내리는 대궁볕을 반기는 꽃나무

                                그래서인지 남보라색 무리꽃은
                                바투 다가서서 들여다보기보다는
                                저만큼 떨어져서 더 정갈스럽다 

                                은근스러운 모둠 떨기
                                되바라지지 않는 매무새
                                바라보고 있노라면 탄상의 인사말이
                                좀처럼 떠오르지 않는다

                                저토록 낮은 키 작은 몸매
                                가려서 지내는 저 몸피 어디에서
                                그토록 범접못할 위엄이 생길까

                                화사함이 도리어 부끄럽고
                                짙은 음영이 새삼 빛을 잃는
                                저 다가올 듯 머뭇거리는 미덕

                                저 꽃 같은 품성의 여인이
                                우리 인간 서리 속에 있다면
                                목숨 걸고 사랑을 얻고 싶을
                                그런 떨기나무 산수국이 피고 있다.

▲ 산수국,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원예종 수국. [사진 - 정관호]
 
▲ 탐라산수국. [사진 - 정관호]
 
▲ 나무수국. [사진 - 정관호]
 
▲ 등수국.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산수국은 산중턱 골짝을 좋아하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로 1미터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밑에서 가지가 모두어 나서 덤불을 이룬다. 6~7월에 걸쳐 햇가지 끝에 우산 모양의 꽃을 다는데, 가장자리에는 분홍색을 띤 무성화(無性花)가 돌려나고 그 한가운데에 유성화(有性花)가 무리지어 핀다. 초여름 햇살 아래 활력에 넘치면서도 청초함을 잃지 않는 매무새가 아주 정겨운 꽃나무다. 정원에서 기르는 수국을 비롯해 ‘ㅡ수국’이라는 뒷가지를 나눠가진 형제종들이 여럿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