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금낭화. [사진 - 정관호]

                                                 금낭화

                                        하얗게 분칠한 잎
                                        활처럼 휜 줄기 끝에
                                        차례로 드리운 꽃차례

                                        가지런한 꽃송이들이
                                        가지런히 매달려서
                                        똑같이 아래로 드리운 질서

                                        쌍으로 된 새빨간 위꽃은
                                        팔을 감아 올리고 
                                        마주 꼭 붙은 아래꽃은
                                        새하얀 나비 버선 

                                        갖은 집안에서 고이 자라 
                                        몸가축을 얌전히 한 
                                        규방 안주인 같은 꽃

                                        구박을 받았다면 시어머니 탓
                                        소박을 맞았다면 새서방 잘못 

                                        어깨 흐름이 저토록 부드러우니 
                                        손매디인들 오죽 고울까 
                                        흐트러짐이 없는 꽃 금낭화.

▲ 금낭화,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흰금낭화.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금낭화는 1속(屬) 1종(種)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설악산에서 자생지가 발견된 외에 사찰이나 민가에서 심어왔다. 굵은 뿌리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서 자라며 연하고 분칠한 것처럼 뽀얗다. 이파리는 3회깃꼴이고, 꽃은 오뉴월에 분홍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주렁주렁 초롱 모양으로 달린다. 그 생김새가 특이해서 근년에는 관상용으로 많이 식재하는 터다. 수입종이지만 흰 꽃이 피는 것도 있다.

※ 지난 연재를 보시려면 제목 상단의 홈>뉴스>통일문화 | 정관호의 풀친구를 눌러주세요.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