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금낭화
하얗게 분칠한 잎
활처럼 휜 줄기 끝에
차례로 드리운 꽃차례
가지런한 꽃송이들이
가지런히 매달려서
똑같이 아래로 드리운 질서
쌍으로 된 새빨간 위꽃은
팔을 감아 올리고
마주 꼭 붙은 아래꽃은
새하얀 나비 버선
갖은 집안에서 고이 자라
몸가축을 얌전히 한
규방 안주인 같은 꽃
구박을 받았다면 시어머니 탓
소박을 맞았다면 새서방 잘못
어깨 흐름이 저토록 부드러우니
손매디인들 오죽 고울까
흐트러짐이 없는 꽃 금낭화.


|
※ 지난 연재를 보시려면 제목 상단의 홈>뉴스>통일문화 | 정관호의 풀친구를 눌러주세요.


친숙한 꽃과 나무도 있었고 잘 알지 못하던 꽃과 나무도 있었만 쉽게 풀어 설명해주시는
시어가 고마왔습니다. 통일의 그날 북녘의 꽃과 나무를 소개해 주실때까지 건강하시길
소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