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일 밤 아프가니스탄 재건 지원을 위해 건설 중인 한국 지방재건팀(PRT) 본부가 적대 세력으로부터 로켓포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관계자는 1일 오전 "어제 밤 10시 10분 경(현지시간) 아프간 차리카르시 인근의 우리 PRT 본부 공사 현장에 적대세력이 로켓포 공격을 해왔다"고 밝혔다.
PRT 본부 공사 현장에 떨어진 로켓포는 총 2발이며 이 중 1발은 공사 현장에서 200-300미터 떨어진 곳에서 탄흔이 확인됐으나 나머지 1발이 떨어진 위치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다.
당초 정부는 PRT 본부 공사 현장에 떨어진 로켓포는 총 4발이며, 3발은 외곽 지역에, 1발은 공사 현장에 떨어진 것으로 파악했으나, 추가 조사 결과 2발은 적대세력이, 2발은 현지 경호 업체가 응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관계자는 "PRT 공사 현장에 정부 대표가 나가 있지 않아서 혼선이 생겼다"라며 PRT 부대표가 군요원과 함께 PRT 공사 현장으로 이동해 구체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시 기지 건설 관계자와 경호부대 등 한국인 58명과 현지 경호 인력 60여명이 현장에 상주하고 있었으나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관계자는 "공사 진척도가 30%정도이기 때문에 특별한 시설 피해도 없었다"고 밝혔다.
로켓포 피격 이후 아프간 경찰이 출동했으며 미군의 신속대응팀과 전투기, 정찰 헬기를 동원해 자정까지 수색했으나 성과는 없었다.
이와 관련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현안브리핑을 통해 "시기적으로 우리가 PRT 기지 발족식을 계획하고 있는 즈음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안전 대책에 만전을 기해야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격 주체에 대해서는 "적대 세력의 실체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탈레반 세력일 가능성도 있고 지역에 거점을 둔 무장단체의 소행일 가능성도 있다"며 "금년 들어 바그람 기지 주변에 2차례 (로켓포) 공격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대응방호에 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 있지만 PRT 기지의 주변 상황이라든가 위기 대응에 대해 철저하게 분석되어야 한다"며 "외교부 주관으로 관계 부처들 간에 구체적인 대비책을 점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아프간 차리카르시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43만㎡ 면적의 국유지에 민.군.경의 숙소 및 사무실과 병원, 교육문화센터 등의 시설 공사를 진행해왔다.
(2보, 15: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