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조팝나무. [사진 - 정관호]

                                                조팝나무 

                                      철도 연변 언덕에 
                                      산기슭 양지바른 비탈에 
                                      하얗게 피는 꽃방망이 

                                      꽃 무게로 축 늘어진 
                                      줄기조차 안 보이게 달라붙은 
                                      꽃이파리 꽃이파리 

                                      논에 고인 물에 비치어 
                                      둔덕에도 꽃 
                                      물 속에도 꽃 

                                      같은 무리에 드는 
                                      꼬리조팝 산조팝 
                                      좀조팝 참조팝 
                                      나라 안 곳곳에 번성한다 

                                      거기에 조팝 꼬리표를 달고 
                                      무슨무슨 이름의 나무들이 
                                      배로 마구 밀려들어와서는 
                                      온 산야가 조팝나무 잔치마당 

                                      분별 있는 나무이고자 
                                      가꾸어 내보내는 나무이고자 
                                      조팝나무를 보며 생각하게 된다.

▲ 조팝나무,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꼬리조팝나무. [사진 - 정관호]

▲ 좀조팝나무. [사진 - 정관호]

▲ 참조팝나무. [사진 - 정관호]

▲ 일본조팝나무. [사진 - 정관호]

▲ 만첩조팝나무.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조팝나무는 ‘-조팝나무’라는 뒷가지를 가진 여러 나무 가운데 가장 토착성이 짙은 나무다. 전국 산기슭이나 논밭둑에서 흔이 만나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로, 그 꽃의 잠망스러움 때문에 ‘조밥나무’라고 불러온 것이 변하여 ‘조팝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나와 큰 포기를 이루는데, 봄이면 지난해의 가지에 눈송이처럼 하얀 꽃이 무더기로 피어나 보는 눈을 현란케 한다. 같은 속(屬)에 딸린 형제 종들이 많아서 가위 조팝나무 왕국을 이룰 지경이다. 조팝나무는 약재로도 귀한 대접을 받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