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2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실시한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민의 절반 이상이 정부가 '천안함 사태'를 선거에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가 28-29일 실시한 '국정현안 국민여론조사'에 따르면, 천안함 조사 결과와 대통령 담화를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발표함으로써 선거에 '북풍'을 활용하고 있다는 주장에 공감하느냐'는 질문에 '공감한다'는 의견이 56.5%에 이르렀다.
22.5%가 '전적으로 공감한다', 34.0%가 '공감하는 편'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모두 36.4%로 집계됐다.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는 14.7%, '공감하지 않는 편'이라는 응답이 21.7%를 차지했다. 그러나 60대 이상의 응답자(51.7%)와 한나라당 지지자(58.9%) 과반수 이상은 북풍 활용론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대조를 이뤘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리서치플러스에 맡겨 전국 1,000명을 상대로 진행됐으며, 신뢰도 95% 수준에서 오차범위 ±3.1%다.
지난 30일 저녁 <SBS> '8뉴스' 패널조사 결과에서는 천안함 조사결과가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부 여당의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것 같다는 응답자가 67.2%에 달해 과반수를 훨씬 웃돌았다.
또 "지지 후보를 정하는데 응답자의 54.1%가 '그렇다'(매우 고려 24.5%, 약간 고려 29.6%)고 대답"해 '천안함 사태'가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치적 활용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정부의 조사 발표에 대해서 신뢰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한겨레> 조사에서는 국민의 72.6%가 '신뢰한다'고 응답했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4.6%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였고, <SBS> 조사에서도 64%가 '조사결과를 신뢰한다'고 응답했다.
최근 정부의 대북 강경조치에 따른 남북 충돌 가능성에 대해서는 국민의 절반 이상인 51.7%가 공감한 것으로 <한겨레> 조사 결과 나타났다. '천안함 사태 이후 남북 관계의 긴장감이 높아졌고, 무력충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7.3%가 '매우 많다', 44.4%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정부의 대북 강경대응 방침에는 59.7%가 적절하다는 반응을 보여 이중적인 모습을 띠었다. '아주 적절하다'는 26.1%, '적절한 편'은 33.6%였다.
<SBS> 조사에서는 국민의 65%가 정권 심판론에 대해서 공감한다고 밝혔다. 매우 공감이 29.5%, 대체로 공감이 35.6%로 이번 선거에서 현 정부를 심판해야 한다는 의견이 매우 높았다. 이와 관련해 SBS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정권심판론에 공감하는 의견이 적지 않은데도 천안함 사태가 유권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이 여론조사는 중앙일보, 동아시아연구원과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5개 지역 2,288명을 상대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는 ±4.6%다.
- 기자명 고성진 기자
- 입력 2010.05.31 11:19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