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산괴불주머니. [사진 - 정관호]

                                                 산괴불주머니

                                     이른 봄 얼음이 채 녹기 전에 
                                     하얗게 분칠한 이파리가
                                     언 땅 속에서 자라 올라와

                                     이윽고 노란 꽃이삭
                                     꽃송이를 한쪽으로 틀며
                                     층층으로 피어 방망이 같은데
                                     여기도 기, 저기도 기
                                     무리로 자라 꽃융단을 깐다

                                     고개를 돌리면 이웃에
                                     개나리와 진달래 함께 피어
                                     바야흐로 봄 잔치를 펼치니
                                     이제 온갖 풀꽃들이 만발하겠지

                                     일가붙이가 많아
                                     가을에 피는 눈괴불주머니
                                     자주꽃을 다는 자주괴불주머니
                                     해안에서 자라는 갯괴불주머니
                                     비슷한 꽃차례로 피고 진다

                                     꽃은 현호색을 빼어닮았건만 
                                     그 몸에 독을 지녀
                                     함부로 입에 대지는 못하는 풀.

▲산괴불주머니, 꽃차례. [사진 - 정관호]

▲눈괴불주머니. [사진 - 정관호]

▲자주괴불주머니. [사진 - 정관호]

▲염주괴불주머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산괴불주머니는 산기슭 해바른 데를 좋아하는 2년초다. 줄기는 아래서 갈라지면서 그루를 이루는데, 이파리는 뽀얗게 분칠한 듯한 깃골겹잎이다. 봄 일찍 움이 트고 4~5월에 노란 이삭꽃을 피운다. 그 꽃차례는 현호색 비슷한데, 낱낱의 꽃에는 꿀주머니(距)가 있다. 열매는 구부러진 꼬투리로 익고 마디마다 씨가 들어 있다. 가을에 피는 눈괴불주머니, 남도 섬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염주괴불주머니 등 여러 형제종들이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