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발표 이후에 주문량이 대폭 끊기고, 현재와 같이 근로자 지원이 안정되어 있지 않고, 북한 당국이 임의로 근로자들을 몇 십 명씩 뽑아내고 있는 상황에서 개별 철수를 하게 되면 경협 보험을 해 달라는 얘기다. 오죽 답답하면 그러겠냐."

개성공단 입주 업체 대표 A씨는 19일 오후 <통일뉴스>와 전화통화에서 공단 내 일부 업체의 철수 움직임과 관련해 이같이 말하면서 "철수를 전제로 그런 얘기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제가 알고 있는 업체들 사이에 철수하려는 사람들은 없다"며 "일부 업체가 기계 설비를 남쪽으로 설비한 것은 가동되지 않은 업체에서 가져오는 것이 확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입주업체 대표 20여 명이 가진 비공식 회의에 참석한 그는 "일부 업체들이 통일부에 민원차원에서 철수시 경협보험 보장 등을 얘기했고, 민원이 아닌 협회 차원에서 건의문을 넣는 게 좋겠다고 의견을 나눴다"며 "통일부에서 받아들여진다고 해서 (공단에서) 나간다는 것은 아니고,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자는 취지에서 논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의에 참석한 다른 업체 대표 B씨도 "제가 알고 있는 업체들 가운데 철수하려는 사람들은 없다"며 "적어도 수십억 원의 시설투자를 했고, 어렵게 여기까지 들어왔는데 철수하고 싶은 사람이 어디 있겠나. 그만큼 답답하다는 심정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일부 업체의 기계설비 철수와 관련해서는 "정상적일 때도 기계는 남북을 오간다"며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보니까 기존 설비들을 들여놓고 고정비용을 투자해서 자동화 기계를 (개성 공장에) 들여놓는 경우가 많고, 또 서울에서 보다 많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 기계 설비를 남쪽으로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대북 삐라' 살포에 따른 北 육로통행 제한에 큰 우려

▲ 반북단체들이 2008년 12월 경기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 삐라를 살포하고 있다. [자료사진-통일뉴스]
이들 업체의 대표들은 천안함 사고 조사 발표가 주문량 감소 등 개성공단 업체들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분명하지만, 개성공단 폐쇄로 이어지기에는 명분이 약하다고 관측했다.

대신, 삐라 살포에 대해서는 큰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지난 17일 북측 군부가 밝힌 '삐라 살포 계속시 육로통행 차단' 가능성에 주목했다.

B씨는 "북측에서 육로통행 차단 가능성에 대해서 언급했는데도 오늘 삐라를 뿌리는 것을 정부가 방조하고 있다"며 "북측에서 분명히 대응이 나올 것이고, 기업들은 더욱 더 힘들어지게 될 것"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A씨도 "북 군부가 삐라 문제를 얘기하면서 개성공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발표를 했는데, 무서운 부분"이라며 "이전처럼 육로 통행을 차단하거나 제한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게 될 것이다. 과연 누가 주문을 하겠나"고 지적했다.

근로자 부족 문제 심각.."정권 내 기숙사 건립 가능성 없어"

▲ 개성공단에서 일하고 있는 북측 근로자들. [자료사진-통일뉴스]
이들은 현실적으로, 정부가 해결책을 마련해 주지 않고 있는 근로자 부족 문제를 가장 힘든 점으로 꼽았다.

A씨는 "천안함 이후에 주문량 등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지만, 우려하는 것은 해결되지 않고 있는 근로자 문제"라며 "근로자가 부족한 업체들이 막대한 시설 투자를 통해 회사를 돌리고 있는 상태다. 자금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무너질 상황에 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측 당국과 임금 인상 관련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보니까, 기업이 맨투맨으로 달라붙고 있다"며 "북측 당국이 어느 날 갑자기 인원을 수십 명 씩 추출해버리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작업을 하고 있는 회사의 경우도 그런 위험에서 자유롭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B씨도 "업체들 대부분이 요청했던 인원 가운데 10~20%로 운영되기 때문에, 한 달에 적게는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수십억 원 씩 적자를 보기도 한다"며 "정권이 바뀌기 전에는 기숙사 지어질 가능성이 보이지 않아 인원을 못 받은 기업들이 가장 최악의 상황인 철수를 고민하게끔 이 정부가 만드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개성공단기업협의회는 불필요한 논란을 막고자 오는 26일로 예정한 임시총회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