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분단나무. [사진 - 정관호]

                                               분단나무

                                핍박으로 얼룩진 섬 제주도 봄에
                                이름도 색다른 분단나무 피었네 
                                왜 하필이면 그런 이름일까
                                육지와 멀리 떨어져 외로운 섬
                                그래서 그런 이름을 가졌을까
                                고운님 바다 건너로 여의고
                                기다림에 목말라 꽃나무가 되었을까
                                겨레의 혈맥이 끊긴 지 육십오 년
                                그래서 나무 이름도 분단일까
                                그런 연유로 받은 이름은 아닐 테지만
                                한라산 기슭 높드리 숲에
                                다소곳 가인(佳人) 몸차림으로 핀
                                예쁜 꽃부리들 정답기도 하여라
                                그 꽃핌을 보는 길손 마음 편치 못해서
                                손으로 쓸며 가슴아린 사연 묻노니
                                분단의 아픔을 상기시키는 나무여! 

▲분단나무, 꽃. [사진 - 정관호]

▲분단나무, 꽃차례.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분단나무는 제주도와 울릉도 산기슭 숲속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로, 새 순이 나면서 양쪽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그런 이름으로 불린다고 제주도 사람들은 말한다. 즉 분단(分斷)을 빌미잡아 붙인 이름이란 것이다. 그 진위는 알 길이 없고 옳은 해석도 아니겠지만, 늦봄에 피는 우산꽃차례의 하얀 꽃은 아주 환상적이다. 꼭 백당나무 꽃을 닮은 차림새인데, 가장자리 꽃은 가짜(無性花)이고 그 가운데에 진짜 꽃(有性花)이 자리한다. 그리고 그것들이 가을이면 빨간 씨과일(核果)로 익다가 검게 여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