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황매화. [사진 - 정관호]

                                                황매화 

                              일본서 들여온 나무라고 했는데 
                              충청도 계룡산에 그 자생지가 있단다 

                              산골짝 축축한 개울가를 좋아하지만 
                              요즘은 도시 한가운데 녹지대나 
                              집 뜰 울타리에 기대서도 자라며 
                              늦은 봄 꽃철에 우리를 반긴다 

                              손으로 쓸며 지나가도 되는 낮은 키 
                              축 늘어져 드리운 파란 줄기들 
                              송이송이 매달리는 노란 꽃떨기 
                              온 덤불로 제가 먼저 우리를 부른다 

                              ‘노란 매화 꽃’이라는 이름 그대로 
                              꽃 생김새가 부드럽고 품위가 있어 
                              아이들을 그 곁에 데려다 놓으면 
                              손뼉을 치며 좋아라고 깡충거린다 

                              꽃잎이 겹으로 피는 나무가 있어 
                              따로 죽단화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죽도화’ 또는 ‘겹황매화’라고 기록된 도감도 있다.

▲ 황매화, 꽃송이. [사진 - 정관호]

▲죽단화. [사진 - 정관호]

▲죽단화, 꽃송이.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황매화는 2미터 정도의 높이로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로, 한때는 수입목으로 알려졌지만 어엿한 토박이 식물이다. 산골짝 비옥한 데를 좋아하지만, 음지 양지를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 초록색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 휘면서 자라 빼곡한 덤불을 이룬다. 봄에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노란 꽃을 피우는데, 꽃송이들이 나무 전체를 덮어 화사할 뿐만 아니라 꽃철이 길어서 관상수로 널리 식재되고 있다. 따로 꽃잎이 겹으로 된 종이 있어 죽단화라 불린다. 북녘에서는 죽도화라고 부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