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목련. [사진 - 정관호]
목 련
봄이 왔음을 일찍 알리는 그윽한 향기 짙은 꽃나무
본시 제주도가 고향이어서 같은 속(屬) 여러 패거리의 표준목 맏형 구실을 한다
도시에서 흔하게 보는 그 하얀 봄맞이는 백목련이고 자주꽃 자목련도 수입종이다
거기에 버금가는 일가붙이에 노란 꽃으로 피는 황목련 꽃잎이 잘게 갈리는 별목련 북미 원산인 멋쟁이 태산목 엉성한 꽃을 다는 일본목련 등 권속이 어울려 꽃동산을 이룬다
이런 꽃나무들이 하나같이 봄 내내 초여름에 이르기까지 각색 모양의 꽃을 피우느니
목련꽃이 피기 시작하면 이제 추위 걱정은 안 해도 된다.
▲ 백목련. [사진 - 정관호]
▲ 자목련. [사진 - 정관호]
▲ 별목련. [사진 - 정관호]
▲ 황목련. [사진 - 정관호]
▲ 일본목련.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목련은 제주도에서 자생지가 발견된 목련 무리의 기본종이다. 축축한 해받이 땅을 좋아하지만, 제주도 밖의 전국 어디서나 잘 자란다. 4월 중순 경 잎이 돋기 전에 향기 짙은 하얀 꽃을 피우는데, 흔히 보는 백목련보다 꽃 수가 적고 크기도 작다. 열매는 골돌(蓇葖)이라는 특이한 모양을 하는데 송이를 이루며 빨갛게 익는다. 여러 형제종이 있고, 산에서 피는 자생 특산종 함박꽃나무 역시 같은 무리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