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후 국회 국방위에서 '파편 중 어뢰나 기뢰로 추정되는 파편물이 있나'라는 한나라당 김동성 의원의 질문에 대해 김 장관은 "파편 수거를 계속 진행 중인데 현재까지는 없다"라고 답했다.
국방부가 이날 국방위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13일 기준으로 천안함 관련 부유물 169종 171점을 수거했으며, 기뢰탐색함 4척을 투입해 대형 잔해물 4종 4점을 수거했다.

관측에서 사라진 북한 잠수함 2척에 의한 공격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측의 사전 통보나 경고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북한 잠수함 2척 정도가 관측 되지 않은 것만 가지고 그 배들이 내려왔다고 입증할만한 것은 없다"라고 배제했다.
이어 "늘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으로 계속 확인하다가 종심에 있는 일부 잠수함이 안 보이는 날이 있지만 다른 정보들이 있다"면서 "단순하게 사진에 보이고 안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천안함 사건과 관련 북한에 대한 군사적 조치 검토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김장수 한나라당 의원이 "북한의 개입이 확실할 경우 군사적 또는 비군사적 대응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자위권 차원의 군사적 대응 준비를 강조하자, 김 장관은 "가정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군사, 비군사적 대응 등 모든 것을 다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김동성 한나라당의원이 "군사적 조치가 가능하냐, 그런 부분은 신중하게 발언해야 한다"면서 "군사적 조치도 옵션에 포함된다는 것이냐"라고 다시 묻자 "그 부분(발언)은 취소하겠다"면서 "군사적, 비군사적 표현은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번복했다.
보충 질문에서 또 이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김 장관은 "군에서는 모든 것을 다 고려해야 한다"면서 "군사적 조치도 모든 스펙트럼에 포함시켜야 한다. 하지만 어떤 것을 시행할 것이냐에 대한 국가적인 정책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혀, 결국 군사적 조치에 대한 대응도 배제하지 않았다.
정명진 기자
mjjung@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