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별꽃. 눈 속의 월동엽. [사진 - 정관호]

                                                    별       꽃 

                                      한겨울 모진 추위에 
                                      저를 어쩌나, 다 죽는가 싶더니만 
                                      할머니 손매 같은 봄바람 건듯 불더니 
                                      오, 꽃을 활짝 터뜨렸구나 
                                      곁을 지나는 이 아무도 모르지만 
                                      나는 안다 
                                      인고의 계절을 견디고 난 
                                      그 비탈 그 터뜨림의 환희를 
                                      그래서 고개를 낮추어 들여다보며 
                                      네가 나의 기다림을 아는구나 
                                      연신 손뼉을 친다 
                                      장하다 별꽃이여 
                                      초롱히 반짝이는 어린것들의 눈매 
                                      아니면 밤하늘에 깜박이는 별 
                                      너의 꽃핌을 다시 보게 되는 
                                      이 나이, 이 봄이 마냥 고마워라.

▲ 별꽃. [사진 - 정관호]

▲ 개별꽃. [사진 - 정관호]

▲ 큰개별꽃. [사진 - 정관호]

▲ 쇠별꽃. [사진 - 정관호]

▲ 털별꽃아재비.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별꽃은 길가나 밭둑 같은 데서 흔히 볼 수 있는 2년초인데, 그 꽃 모양새가 반짝이는 별을 닮았다고 이런 이름을 가졌다고 한다. 겨울 눈 속에서도 잘 견디고 봄 일찍 꽃을 피우는데, 꽃이파리 하나하나가 다시 깊게 갈라져서 마치 열 낱의 꽃잎처럼 보인다. 그래서 전체로는 꽃받침까지 어울려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화가 반 고흐의 별은 둥글고, 우리 선인들도 별을 둥글게 그린 것을 상고하면서 이 꽃을 보는 것도 멋이 있을 것 같다. ‘―별꽃’이라는 뒷가지를 가진 형제 종들이 여럿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