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강, 19일 01:25> 통일부 당국자 발언 추가

북한이 18일 '금강산 관광 지구 내 부동산 소유자들을 소집하고 응하지 않을 경우 자산을 몰수하겠다'고 통보한 것과 관련, 통일부는 북측에 당국 간 협의를 통해 문제를 풀 것을 촉구하며 금강산 방문을 원하는 업체의 방북을 막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는 이날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남북 간의 모든 현안 문제는 반드시 대화를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며 "북한 측이 이와 같은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금강산.개성 관광과 관련한 남북 당국 간 협의에 조속히 응해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금강산과 개성관광은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신변안전문제가 해결된 이후에 재개한다는 정부의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아태의 이번 통지는 남북 사업자간 합의와 당국 간 합의를 위반하는 것을 물론이고 국제관례에도 어긋나는 것으로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특히 25일 해당 업체의 금강산 방문과 관련해서는 통일부 당국자는 "개인 재산권에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사업자 자체 판단에 따르도록 했다"면서 "통일부에서 일률적으로 입장을 정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같은 통일부의 태도는 지난달 8일 실무회담 이후 진상규명, 재발방지약속, 신변안전보장 등 '3대 조건에 대한 북측의 입장 변화 없이는 회담을 열어도 의미 없다'는 경직된 태도에서 다소 완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통일부 당국자는 "회담의 문은 항상 열려 있다는 정도일 뿐"이라며 과도한 해석은 피해줄 것을 주문하며 "지난 4일 아태 담화 때 정했던 정부의 입장에서 변화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남측이 관광 재개 회담을 제안할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서는 계획하고 있는 것은 없다"면서 "우리가 제안하더라도 북한이 당장 받겠느냐"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