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나도풍란. [사진 - 정관호]
나도풍란
풍란을 닮으려다 그리 되었나
풍란을 흉보다가 그리 되었나
아무래도 샘을 좀 냈던갑다 몸단장을 심하게 한 것을 보니
홀로서기를 할 일이지 공연히 뒤쫓다가 저도 고향에서는 못 살고 떠돌이 신세
대견타 할까 안됐다 할까
제자리에 가만히 있었으면 찬탄이 끊이지 않을 터인데
이름만 야릇하게 듣기 거북한 나도풍란.
▲ 나도풍란. [사진 - 정관호]
▲ 나도풍란.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나도풍란은 제주도와 남해안 도서지방의 바위나 고목에 붙어 사는데, 국숫발 같은 기근을 뻗으며 솟듯이 자란다. 성질은 풍란과 비슷하지만, 생김새는 이파리가 좀 더 크고 두꺼우며 길둥글다. 꽃철은 풍란보다 이르고 색깔도 연노랑이며, 바깥꽃잎과 입술꽃잎에 붉자주색 무늬가 있다. 포기나누기(分株)와 조직배양을 해서 물이끼나 인공재배토에 착생시켜 번식시키는데, 내륙에서는 한데서 키우기 어렵다. 꽃이 푸지면서도 향기가 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