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풍란. [사진 - 정관호]

                                                            풍 란 

                                                      꽃이 좋으면 
                                                      향기라도 없던가 

                                                      향기가 좋으면 
                                                      꽃이라도 보잘것없던가

                                                      그 둘을 다 가졌고 
                                                      가져도 가져도
                                                      아주 빼어나게 가졌으니 

                                                      제 집에서는
                                                      다 캐이고 집터뿐
                                                      가까스로 시험관 속에서 
                                                      명맥을 잇고 있어

                                                      가련타 할까
                                                      서럽다 할까

                                                      하지만 그 향기를 맡고 나면
                                                      도둑질할 생각이 절로 나니 

                                                      그래서 저마다 
                                                      난향을 입에 올리는갑다.

▲ 풍란. [사진 - 정관호]

▲ 풍란.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풍란(風蘭)은 남부지방의 바위나 고목에 붙어 사는 늘푸른여러해살이풀(常綠多年草)인데 반그늘을 좋아한다. 난획으로 말미암아 자생지에서 보기는 힘들지만, 요즘은 조직배양 방법으로 번식시켜 온실에서 많이 키우고 있다. 가는 이파리는 안으로 옥아 처지면서 층층으로 자란다. 꽃철은 6~7월로 늦은 편이고, 가늘고 희게 피었다가 노랗게 변한다. 향기가 아주 진하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