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온실에서 자라는 춘란. [사진 -정관호]

                                                               춘란

                                               힘차게 뻗다가 
                                               끝이 완만하게 휘는 이파리 

                                               연한 황록색 꽃 
                                               거기서 번지는 우련한 향기 

                                               기다림을 보상받고도 남는 
                                               청아한 화초 

                                               그래서 일명 
                                               보춘화라고도 한다던가 

                                               분(盆)에서 보고 맡는 
                                               그 멋이 저러하거늘 
                                               자생지에서 만나면 더 어떨까 

                                               심산유곡 어디든 
                                               계류절벽 어디든 
                                               저 꽃이 피고 있다면 
                                               만사 제치고 찾아가련만 

                                               지금 어디 가야 
                                               그 야생 모습을 볼 수 있을까 
                                               맘속으로만 그리는 꽃이 되었다.

▲ 화분에서 자라는 춘란. [사진 -정관호]

▲ 춘란의 꽃. [사진 -정관호]

도움말

춘란(春蘭)은 봄에 핀다고 붙여진 이름인데 일명 보춘화(報春花)라고도 한다. 본디 중남부 산속 그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건만, 마구잡이로 캐가는 바람에 야생으로는 보기 어렵게 되었다. 겨우 온실에서 재배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줄기는 무더기를 이루며 3~4월이면 꽃대 끝에 한 송이씩 꽃이 달린다. 난 종류는 그 꽃 모양이 서로 비슷한데, 춘란은 입술꽃잎 흰 바탕에 붉자주색 점무늬가 있다. 향기가 매우 짙어 애란가들의 기림을 받는 터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