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돈나무. [사진-정관호]

                                                      돈나무

                                       돈과 무슨 상관이라도 있는가
                                       돈에 얽힌 전설이라도 지녔는가
                                       아니면 모양이 돈을 닮기라도 했는가

                                       그도저도 아니라면
                                       그저 부르기 좋아서 그리 부르는가
                                       소원을 얹어 부르다 보니 그리 되었는가

                                       그 이름을 갖게 된 뿌리를 더듬으니
                                       실로 가당찮은 와전일 뿐 
                                       오히려 천대하여 붙인 이름이더라니

                                       하지만 복스럽게는 생겼고
                                       둥그스름한 수형에 정도 가고
                                       무더기로 피는 꽃 향기도 좋고

                                       다만 몸내가 심하게 나는데
                                       그로 해서 잎과 껍질은 약이 된다니 
                                       돈과 전혀 무관하지는 않은 돈나무.

 

▲돈나무 열매. [사진-송지영]

▲돈나무 열매. [사진-송지영]

도움말

돈나무는 남쪽 따뜻한 고장에서 자라는 늘푸른좀나무(常綠灌木)다. 두껍고 윤기나는 이파리는 가지 끝에 모여 나고, 5~6월에 하얗게 피었다가 노란색으로 변하는 꽃은 향기가 짙다. 제주도에서 ‘똥나무’라고 부르던 것이 변해서 ‘돈나무’가 되었을 뿐, 돈에 말미암은 이름샘(말밑)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1속(屬) 1종(種) 암수딴그루(雌雄異株)이며 반달꼴로 예쁘게 자라는데, 몸에서 (특히 뿌리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