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까마귀밥여름나무. [사진-정관호]
까마귀밥여름나무
긴 이름을 가진 나무지만 떨기는 나지막 덤불로 얽히듯 자란다
그저 거기 있으려니 국화 잎을 닮은 잎모양새려니
그러다가 가을에 접어들며 길둥굴게 생긴 씨알 마디마디 총총 익어갈 무렵
닿으면 터질 듯 만지면 번질 듯 알알이 새빨간 물열매 염주알
받은 이름 그대로인 까마귀 밥으로는 아깝지만 그도 타고난 섭리일진대
뿌려지겠거든 넓게 멀리 이 강산 구석진 데까지 양달 응달 가리지 말고 골고루 씨 흩거라
한 여인이 너를 기리되 너만큼 예쁘고 뜨겁게 살다 갔으면 원이 없겠다고.
▲ 까마귀밥여름나무, 꽃. [사진-정관호]
▲ 까마귀밥여름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 까마귀밥여름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도움말
까마귀밥여름나무는 산기슭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로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덤불을 이룬다. 손바닥 모양의 이파리는 국화 잎을 닮았고, 잎자루와 뒷면에 털이 나 있다. 4~5월 잎겨드랑이에 술잔 모양의 꽃을 여러 낱 피운다. 암수가 각각 다른데 수꽃은 꽃자루가 길다. 가을에 촘촘히 달리는 빨간 물렁열매(漿果)는 흩뿌린 보석 같다. 도심 정원에서도 잘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