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느티나무. [사진-정관호]

                                                      느티나무 

                                        동구 밖에 그늘 드리워 정자나무 
                                        마을 한가운데 서서 당산나무 
                                        서낭당 구실을 하여 치성나무 

                                        이 나무에 얽힌 신령스런 이야기들이 
                                        그 모두가 예사롭지 않아 
                                        더불어 갖가지 설화를 낳는구나 

                                        천연기념물로 지정을 받았거나 
                                        노거수(老巨樹)로 보호받는 나무마다 
                                        그럴싸한 사연과 일화를 품고 있으니 
                                        마을에 큰일이 날 적마다 운다느니 
                                        효자에게 제 몸을 내맡겨 도왔다느니 
                                        득남을 빌면 아들을 낳게 해준다느니 
                                        그 영검으로 하여 고사를 받는 나무 

                                        살아서 그윽한 운치를 더하고 
                                        그 그늘에서 온갖 역사가 이루어지다가 
                                        죽어서 귀목이라는 좋은 재질로 하여 
                                        집안 가구나 불상을 만드는 감으로 
                                        고분에서 발굴되는 관(棺) 유물로 
                                        거듭 빛을 뿜는 고귀한 나무 

                                        천 년을 넘게 살아 궁중나무로 
                                        벌레가 범접을 못해 도시의 가로수로 
                                        우리에게 일상의 혜택을 주는 나무 

                                        이 해 짙은 가을에 단풍이 곱고 
                                        다 익어 하늘거리며 지는 낙엽에 
                                        잠시 그 내력을 더듬게 되는구나 

                                        형님 뻘이 되는 은행나무와 나란히 
                                        다함없는 너그러움을 일깨워주는 
                                        그래서 늙고도 젊은 이 땅 느티나무여!

▲ 느티나무, 노거수. [사진-정관호]

▲ 느티나무, 보호수. [사진-정관호]

▲ 느티나무, 수피. [사진-정관호]

도움말

느티나무는 전국에 걸쳐 자생하는 갈잎큰키나무(落葉喬木)다. 키가 30미터, 가슴높이 지름이 3미터까지 이르며 수백 년 자란 나무들이 많다. 암수한그루로 가을에 노랗거나 빨갛게 물드는 자태가 매우 아름답다. 수명이 길고 나무갓이 가지런하여 옛날부터 궁중나무나 마을 당산 정자나무로 많이 심어 가꾸었다. 나무 결이 아름다워 목재로도 귀히 쓰인다. 사찰이나 궁궐에 노거수(老巨樹)가 많고, 아주 오래 된 것들은 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