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박주가리. [사진-정관호]
박주가리
모르고 있을 때는 곁을 지나면서도 몰랐는데 알고 나니까 여기도 기 저기도 기
넓고 야들한 이파리에는 하얀 잎맥에까지 젖물이 꽉 차서 자국만 내도 마구 흘러내린다
털이 보송한 이삭꽃 자주색 별무늬를 속에 감추고 꽃이파리 끝은 살짝 밖으로 감긴다
다 익은 열매는 약용 풋씨는 먹기도 하고 솜 같은 씨털로는 인주를 만들었대
수영장이나 아이들 놀이터에 울타리나 시렁으로 감아올리면 고운 담장 서늘한 그늘이 되겠다
좀 더 우리 삶 가까이 다가와 있어도 좋을 듯한 정을 속에 담은 덩굴풀 박주가리.
▲ 박주가리, 꽃. [사진-정관호]
▲ 박주가리, 열매. [사진-정관호]
▲ 박주가리, 씨. [사진-정관호]
도움말
박주가리는 강변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이파리는 심장 모양이고 뒷면은 뽀얗다. 잎맥이 뚜렷하고 자르면 흰 젖물이 나온다.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연자주색 이삭꽃이 피는데, 다섯 가닥 꽃잎 속에는 잔털이 많이 나 있다. 표주박 모양의 열매 거죽에는 사마귀 같은 돌기가 난다. 다 익은 씨에는 털이 보송보송 나서 바람에 잘 날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