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보리수나무. [사진-정관호]
보리수나무
그 열매를 손으로 쭉 훑어서 한입에 털어넣곤 하던 나무 그때 부른 이름은 ‘보리똥’ 자라면서 무척 따먹었더니
온 나무가 허여스름하던 기억 키가 알맞게 자라 만만했고 산 기슭이나 마을 잔등에 으레 덤불로 자라고 있었는데
그 많던 게 다 어디 갔을까 지금은 불가에서 말하는 그 보리수(菩提樹)와 혼동되니 차라리 보리똥나무라고 불렀으면
우리들이 다 성장한 지금 동화처럼 아슴히 떠오르는 그 시절, 그 나무, 그 열매 생활 가까이에 더 무성했으면
일가붙이가 두루 많은데 여름에 붉게 익는 뜰보리수 그 나무도 길다란 꽃받침통이 꽃잎 구실을 하는 형제나무다.
▲ 보리수나무, 결실기. [사진-정관호]
▲ 보리수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 뜰보리수나무. [사진-정관호]
▲ 뜰보리수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도움말
산야에 흔히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다. 햇가지에는 하얀 잔털이 많고, 이파리 뒷면도 털이 밀생하여 희게 보인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처음에는 희다가 차츰 노란색을 띈다. 꽃잎은 없고 통 모양의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10월에 물렁열매(漿果)가 붉게 익는데, 그 점박이 열매가 새콤달콤 맛이 있다. 잎ㆍ열매ㆍ뿌리를 약에 쓴다. 살붙이가 여럿인데, 여름에 소담스레 익는 뜰보리수나무는 수입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