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물봉선. [사진-정관호]

                                                   물봉선

                                         나무 그늘 추진 데나 
                                         개울 가장자리를 좋아하는 풀 

                                         이슬이 차갑게 느껴질 즈음 
                                         그 물기 많은 줄기에 
                                         뿔잔 모양의 붉자주 꽃이 달린다 

                                         늘 옆으로 기울어 
                                         따르는 술은 잔에 차지 못하고 
                                         그래서인지 꿀주머니만 안으로 감겨 

                                         열매는 꼬투리로 여물건만 
                                         혹 씨라도 받으려고 가까이 가면 
                                         제가 먼저 튀겨서 범접을 막고 

                                         꽃이 차례로 피어오르다가 
                                         더 필 송이가 없게 될 즈음이면 
                                         온 산야에 된서리가 내린다 

                                         순박한 꽃 색깔의 노랑물봉선 
                                         깊은 산 골짜기의 흰물봉선 들이 
                                         다 이 땅에서 터를 잡고 사는 동기간 

                                         우리가 어려서부터 알고 지내는 
                                         봉선화도 이들의 흐름 끝에 있다.

▲ 물봉선, 꽃. [사진-정관호]

▲ 물봉선, 꽃. [사진-정관호]

▲ 노랑물봉선. [사진-정관호]

도움말

물봉선은 산의 그늘진 개울가나 추진 데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번식력이 좋아서 무리를 짓고 산다. 두어자 높이까지 자라 덤불을 이루며 8~9월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붉자주색 꽃을 피운다. 주머니 모양의 꽃 안쪽 꿀주머니(距)는 나사모양을 이루며, 열매가 익으면 튀겨서 씨를 날리는 습성이 있다. 노란색 또는 흰색 꽃을 다는 종(種)도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