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뻐꾹나리. [사진-정관호]

                                                      뻐꾹나리

                                           이름은 분명 나리인데
                                           여느 나리꽃을 닮지 않은 풀꽃
                                           어떤 연유로 그 이름을 받았을까 

                                           젖혀진 여섯 낱 꽃이파리에
                                           선명히 찍힌 빨간 얼룩이
                                           뻐꾹새 가슴 무늬를 닮았다는군

                                           뻐꾸기 세우 울다가 목이 터져
                                           토해낸 핏방울이 꽃잎에 스며
                                           저토록 영롱한 꽃무늬가 되었을까

                                           아니면 새가 꽃으로 내려앉았을까
                                           꽃이 새가 되어 날아갔을까 
                                           새가 먼저일까, 꽃이 먼저일까

                                           어쨌든 그런저런 내력으로 하여
                                           새와 연분을 맺은 뻐꾹나리 
                                           꽃에서 새 울음 들리는 특산식물.

▲ 뻐꾹나리. [사진-정관호]

▲ 뻐꾹나리, 꽃. [사진-정관호]

▲ 뻐꾹나리, 꽃. [사진-정관호]

도움말

뻐꾹나리는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두어자쯤 자라고 위에 가서 여러 가닥으로 갈린다. 8~9월에 걸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여러 낱의 꽃이 산방꽃차례로 핀다. 여느 나리들과는 다르게, 마치 꼴뚜기처럼 생긴 그 꽃 생김새가 익살스러우면서도 매우 아름답다. 가을을 알리는 귀여운 풀꽃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