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벗풀. [사진-정관호]
벗 풀
늪이나 연못 가장자리 물 얕은 데 뿌리내리고 골풀이랑 고랭이랑 같이 사는 풀
무더기로 솟는 이파리는 뾰족히 세 가닥으로 갈라지고 손잡이처럼 달린 긴 잎자루 물속에 총총 삼지창을 박았다
그 사이에서 높이 빠진 꽃자루는 솟대인가 깃대인가 강신굿 차리려는 내림대인가
차례로 피는 세이파리 꽃 아직 벌지 않은 꽃봉오리는 달랑달랑 쌍두령인가 팔두령인가 바람을 부르는 듯 비를 부르는 듯
보풀 올미는 서로 동기간 함께 거느리고 하얀 깃발 내걸었으니 한바탕 굿잔치 벌이려는가
이웃을 젖히는 그 생김새 무당풀이라고 불러도 좋을 듯 요괴스런 기를 부르고 섰는 수중초.
▲ 벗풀, 꽃. [사진-정관호]
▲ 벗풀, 외래원예종. [사진-정관호]
▲ 보풀. [사진-정관호]
도움말
벗풀은 논이나 연못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수초다.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뻗으면서 생기는 덩이뿌리(塊根)로 번식한다. 이파리가 세 개로 갈라지는 특이한 모양을 하며, 여름에 따로 솟아오른 꽃줄기에 흰색 꽃이 마디마다 3개씩 둘러난다. 꽃이파리도 세 낱이며, 암수 꽃이 각각 다르다. 보풀과 매우 흡사한데, 보풀은 이파리 생김새가 훨씬 가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