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물달개비. [사진-정관호]
물달개비
물에서 사는 달개비 무논에 뿌리내리면 김 신세 하지만 요즘은 거의 볼 수 없어
연못이나 습지에 뜨면 그 싱그럽고 물기 많은 이파리와 자주색 꽃차례가 예쁘다
경엽 전체를 생약으로 썼다지만 지금은 돌보는 사람 없어 외롭고 고단한 처지가 되었다
우선 키우기가 쉬울 터이고 그 친근스러운 생김새로 해서 오래 곁하여도 싫증은 모르겠거늘
물옥잠이나 부레옥잠처럼 수반에 앉혀 키우면 훌륭한 화단 구실을 할 것 같은데
그렇게 만들어놓은 호텔 로비나 화랑 전시실 같은 곳을 볼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 물달개비, 꽃. [사진-정관호]
▲ 물달개비, 꽃. [사진-정관호]
도움말
물달개비는 논이나 연못 가의 얕은 물에서 사는 한해살이수초(當年水草)다. 전체가 매끄러우며 잎은 뿌리에서 바로 나는데 그 모양이 매우 다양하다. 여름에 줄기 끝에 보라색 꽃이 이삭처럼 달리는데, 꽃잎이 활짝 벌어지지는 않는다. 수술 6개 가운데 하나가 유독 큰 것이 특이하다. 물옥잠과 퍽 닮았는데, 이파리가 가지런하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