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부레옥잠. [사진-정관호]

                                                  부레옥잠

                                         잎자루에 뜰주머니를 차고
                                         바다를 건너온 이국 태생
                                         지금은 연못이나 도랑에서
                                         제집처럼 무리를 지어 산다 

                                         꽃대에 이삭으로 달리는 꽃은 
                                         단정한 여섯 날개
                                         연자주의 정갈한 매무새

                                         사찰 경내의 수조에서
                                         아파트의 집집 베란다에서
                                         이색 화초로 대접받는다
 
                                         그 숱이 많은 잔뿌리가 
                                         더러운 물을 맑게 걸러주므로 
                                         요즘은 환경 정화부로서도 
                                         단단히 한 몫을 한다

                                         귀화식물의 횡포가 심한 요즘
                                         번성하라고 빌고 싶은 손님풀.

▲ 부레옥잠, 꽃송이. [사진-정관호]

▲ 부레옥잠, 꽃무늬.[사진-정관호]

도움말

부레옥잠은 열대 아메리카 원산인 여러해살이 수초다. 많은 수염뿌리가 나 있고, 잎자루 한가운데에 공기주머니가 있어 부레 구실을 하므로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여름에 깔때기 모양의 연보라색 꽃이 이삭으로 피는데, 낱낱의 꽃은 여섯 가닥으로 갈라지며 맨 위쪽 꽃잎에는 줄무늬에 노란 점이 박혀 있다. 물을 걸러주는 정수(淨水) 기능이 있어 아주 요긴한 구실을 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