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연꽃. [사진-정관호]
연 꽃
누가 연꽃을 모른다 하는가 누가 연꽃을 보지 못했다 하는가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시작해 여염집 병풍 그림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일상이 된 연꽃이여
진창 구렁에서 솟는 꽃대 끝에 청정한 꽃 한 송이를 달고 물속에서 나고 자란 이파리 물을 타지 않는 청결함이여
불가에서는 숭상의 대상이 되어 불상의 앉을자리(臺座)에 석탑 부도 석등의 받침돌에 앙련(仰蓮) 복련(覆蓮)으로 새기고
숫제 돌로 옹근 형상을 파고 살아 있는 꽃과 돌꽃이 어울려 천년이 가도록 만든 석련지(石蓮池)
연못에 심고 정자까지 지으면 구름처럼 모여드는 한량 시인묵객 운율을 따라 시를 짓고 글을 바쳐 풍류 가락 인근에 진동케 하더니
죽어서 간다는 저승 정토낙원에는 연꽃이 만발하고 향기 그윽해 백년이 하루 같다 하지 않던가
누가 연꽃을 마다 하는가 누가 연꽃을 모른다 하는가.
▲ 분홍색 연꽃. [사진-정관호]
▲ 노란색 연꽃. [사진-정관호]
▲ 흰색 연꽃. [사진-정관호]
도움말
연꽃은 못에서 심어가꾸는 여러해살이풀(多年草)이다. 뿌리줄기는 물속에서 옆으로 뻗으며 마디 대목이 가늘다. 잎줄기와 꽃대에는 돌기가 있고, 수면 위로 솟아 펼쳐진다. 꽃은 여름에 분홍색 또는 흰색, 드물게는 노란색으로 피며 꽃밥은 짙은 황색이다. 불가(佛家)에서 숭상하는 꽃이며,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임새가 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