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희호 여사가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마지막' 편지를 보냈다.
20일 오후 1시 30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1층 안치실에서 진행된 입관 미사에서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에게 "너무 쓰리고 아픈 고난의 생을 잘도 참고 견딘 당신을 나는 참으로 사랑하고 존경했습니다"며 절절한 마음을 담은 편지를 건넸다.
이희호 여사는 "같이 살면서 나의 잘못됨이 너무 많았습니다"며 "그러나 당신은 늘 너그럽게 모든 것 용서하며, 아껴준 것 참 고맙습니다"고 고마음을 전했으며, 윤철구 비서관이 대신 낭독했다고 최경환 비서관이 전했다.
이 여사는 고인이 누워있는 관을 향해 고개를 숙이고 무릎을 굽히기도 했으며, 의식이 진행되는 내내 눈물을 흘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 여사의 자서전 '동행' 앞표지에 이 여사가 친필로 작성한 편지가 낭송되자 식장은 '울음바다'로 변했다.
이 여사는 짧은 편지와 함께 김 전 대통령이 평소에 보던 성경책과 자서전 '동행', 뜨개질한 배 덮개, 손수건 등의 선물을 고인의 배 위에 얹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전 대통령의 입관식과 천주교 미사가 진행된 1층 안치실은 가족.친지와 측근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슬픔이 짙게 배어 있었다.

박지원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윤철구.김선흥.최경환 등 비서관들은 김 전 대통령 앞에서 '마지막 보고'를 드리며 눈물을 흘렸다.
박지원 의원은 "저희들이 대통령님을 모셨듯이 여사님을 모시겠다"며 "대통령님의 유지를 받들어 우리들이 남북관계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평소 눈물이 없는 편인 박 의원 역시 눈물을 쏟았다고 최경환 비서관은 말했다.
권노갑.한화갑.한광옥.김옥두 전 의원 등 동교동계 옛 동지들도 나란히 서서 김 전 대통령에게 '마지막' 인사를 했다. 이들도 "여사님 잘 모시겠다"며 고인의 영면을 기원했다.
입관식과 입관 미사, 참관식은 오후 2시쯤 종료됐지만, 국회 빈소 설치가 늦어지면서 오후 4시 병원을 출발할 예정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