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회화나무. [사진-정관호]

                                                    회화나무 

                                        피고 진다, 이 염천 8월에 
                                        회화나무가 꽃을 피우고 또 지운다 
                                        노란 송이꽃 소담스럽더니 
                                        훑이듯 땅에 깔려 꽃융단이구나 

                                        잔가지가 녹색이어서 
                                        나무가 온통 푸르게 보이고 
                                        수려하게 뻗어 중용(中庸)인 나무갓 
                                        만성(晩成)의 미덕까지 지녀 

                                        향교 뜰에 심어서 학자나무 
                                        선비 집 담 모퉁이 영화나무 
                                        잡것이 범접못하는 신령나무 
                                        동구밖에 우뚝 서서 정자나무 
                                        거목으로 자라 기림받는 나무 

                                        나비 모양의 꽃은 괴화(槐花) 
                                        잘룩한 꼬투리 열매는 괴실(槐實) 
                                        껍질과 뿌리까지 두루 약에 쓰이고 
                                        죽어서는 괴목(槐木)이라는 좋은 재질 
                                        그러고도 손가락을 더 꼽게 되는 쓰임새 

                                        이제는 도시로 들어와 가로수로 
                                        우리가 일상 대하는 나무가 되었구나 
                                        벌레가 안 끼고 병에 강해서 
                                        아무데 심어도 무성히 잘 큰다 

                                        꽃이 송이째 뚝 뚝 떨어진다 
                                        길 가는 여인네 양산 위에 
                                        밤을 지낸 자동차 보니트 위에 
                                        즈레 밟는 보도에도 그득 깔려 
                                        매무새 바른 한여름의 친구 나무여!

▲ 회화나무 개화기. [사진-정관호]

▲ 회화나무, 꽃. [사진-정관호]

▲ 회화나무, 낙화. [사진-정관호]

▲ 회화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도움말

회화나무는 콩과(荳科)에 속하는 중국 원산의 갈입큰키나무(落葉喬木)다. 잎은 깃골겹잎(羽狀複葉)이고 잔가지는 녹색, 자르면 냄새가 난다. 8월에 연노란색 꽃이 원뿔꽃차례(圓錐花序)로 달린다. 옛날부터 학자나무로 이름나 향교ㆍ궁궐ㆍ사찰 등에서 노거수(老巨樹)를 볼 수 있다. 꽃ㆍ열매 등을 약 또는 염료로 쓰는데, 근년에는 나무에서 고혈압 등을 치료하는 약물 루틴(rutin)을 추출하고 있다. 공해에도 강해서 도시 가로수로도 널리 식재되고 있는 터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