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칠엽수,덕수궁. [사진-정관호]

                                                    칠엽수

                                         이파리가 일곱 낱 모여 달리므로
                                         이런 이름으로 불리는데
                                         실은 이 나무의 유럽 이름인
                                         ‘마로니에’로 더 유명한 나무다

                                         파리 몽마르트 언덕의 가로수가
                                         낭만의 너울을 쓰고 수입되어
                                         이 땅에서는 노래 가사로 쓰여 
                                         청춘의 우수와 꿈을 키웠구나

                                         잎도 풍성히 높이 자라는 키
                                         고깔 모양의 큼지막한 꽃송이
                                         낮은키나무에만 익숙한 눈에는
                                         그게 다 이국적인 것으로 비쳤다

                                         서울 대학로의 마로니에 공원
                                         아파트 단지 안의 조경 수열
                                         이제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늘 만나는 일상의 나무가 되었구나

                                         그 가운데는 개국 이후에
                                         일본에서 수입된 것이 많고
                                         유럽종과 열매 모양 등이 다르지만
                                         하나같이 가을 단풍이 멋스럽다.

▲ 칠엽수, 꽃. [사진-정관호]

▲ 칠엽수, 낙화. [사진-정관호]

▲ 칠엽수, 일본종 열매. [사진-정관호]

▲ 칠엽수, 유럽종 열매. [사진-정관호]

▲ 칠엽수, 단풍. [사진-정관호]

도움말

칠엽수(七葉樹)는 작은 이파리가 일곱 낱이어서 이렇게 불린다. 키가 30미터 높이로 자라며 6월에 피는 꽃은 포도송이마냥 크고 소담스럽다. 개국 이후 수입된 나무인데, 1913년 네덜란드 공사가 고종에게 선사했다는 나무가 서울 덕수궁에서 자라고 있다(유럽종). 그밖에 일본 수입종이 두루 식재되고 있다. 두 나무는 얼쭈 비슷한데, 유럽종은 열매에 가시가 돋혀 일명 ‘가시칠엽수’라고 불리기도 하는 터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