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꿀풀. [사진-정관호]
꿀 풀
공동묘지 한 귀퉁이 잔디밭에 모닥이 무리지어 핀 보숭이꽃 그 선연한 진자주 꽃이파리에 내리 쬐는 한여름 볕이 뜨겁다
찾는이 없어 외로워서인가 가신님 찾아 어깨동무 하는 건가 서로 의지하며 자라는 그루에 벌 서너 마리 들며나기 바쁘다
모르고 지나치는 이 있거든 잠시 멈추어 저 떨기를 보시오 낮은 키의 가지 정수리에서 하늘 우러러 피어오르는 모습을
꿀을 많이 가져서 보배요 전초를 약으로 써서 귀물이요 그 문패를 단 지붕 아래에는 많은 초목들이 줄지어 있다*
잿마루로 오르는 묵은 길 옆에 산 발치의 해받이 풀밭에 입술꽃 줄줄이 이삭으로 단 꿀풀을 만나는 즐거움은 크다.
* 꿀풀과에는 많은 초목들이 딸려 있다는 뜻임
▲ 꿀풀, 꽃. [사진-정관호]
▲ 흰꿀풀. [사진-정관호]
▲ 좀꿀풀, 제주도. [사진-정관호]
▲ 하고초. [사진-정관호]
도움말
꿀풀은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무리지어 살기(群生)를 좋아한다. 키는 30센티 내외, 곧은 줄기는 네모져 잔털이 많다. 늦은봄에서 한여름까지 줄기 꼭대기에 붉자주색 기둥 모양의 꽃을 피운다. 꿀을 많이 가졌다고 이런 이름으로 불리는데, 꽃철이 길며 꽃이 진 뒤에도 줄기는 곧게 선 채로 마른다고 해서 하고초(夏枯草)라고도 하며 전초를 약에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