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봄맞이꽃. [사진-정관호]

                                                    봄맞이꽃

                                          그림으로 보아서 알고
                                          그 이름 또한 당길심이 있어서 
                                          매양 클클하던 차

                                          동행이 가리키는 손 끝에서
                                          기인 줄 알아차렸을 때
                                          아, 봄은 벌써 저만큼 가고 있었구나 

                                          하지만 뜨거운 여름에 오히려
                                          이 풀 저 꽃들 사이에서
                                          요리조리 고개를 내두르며
                                          그 하얀 다섯 꽃이파리 영롱하구나

                                          일찍 이우는 로제트 배내 이파리
                                          뒤집힌 우산살 나란한 꽃대
                                          알고 보니 여기저기 눈에 띄는 것을 

                                          꽃자루 들쭉날쭉 애기봄맞이
                                          금강 설악의 특산 금강봄맞이
                                          다들 사는 곳만 서로 다른 일가붙이다.

▲ 애기봄맞이꽃. [사진-정관호]

▲ 금강봄맞이꽃. [사진-정관호]

도움말

봄맞이꽃은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월년초다. 로제트 모양의 근생엽(根生葉)이 바닥에 깔려 나며, 거기서 솟는 꽃대에 우산꽃차례의 하얀 꽃을 피운다. 봄을 알리는 풀꽃이지만, 여름까지도 그 잔망한 꽃을 볼 수 있다. 자라는 고장 이름을 얹은 형제붙이들이 있어 조금씩 다른 생김새를 보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