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현호색. [사진-정관호]

                                                               현호색

                                                더 귀염성스러운 이름이 있을 법도 한
                                                봄의 애교꾼

                                                숲 그늘이나 들녘 풀밭에서
                                                거침없이 자라는 봄의 들풀

                                                사다리 꼴로 층층 이삭으로 달리는
                                                연자주 색깔의 꽃차례가
                                                낮은 키로 상냥한 떨기를 이룬다

                                                눈에 환히 뜨이지 않아
                                                거기 있는 줄 모르고 지나치면서
                                                없더라고 우기기 십상인 겸손이

                                                생김새가 조금씩 다른 피붙이가 많아서 
                                                그 갈래 잡기가 만만찮지만 
                                                거기서 받는 느낌은 서로 어슷비슷

                                                굳이 기다리지 않아도
                                                수월하게 피면서 봄을 알리는
                                                약초로서도 유용한 파발꾼 현호색 무리.

▲ 댓잎현호색. [사진-정관호]

▲ 들현호색. [사진-정관호]

▲ 빗살현호색. [사진-정관호]

▲ 애기현호색. [사진-정관호]

도움말

현호색은 산과 들에 널리 퍼져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낮고 뿌리는 마늘처럼 둥굴다. 잎은 여러 가닥으로 갈라지고 뒷면은 흰색을 띤다. 4월 초에 연자주색 꽃이 층층 총상꽃차례로 핀다. 여러 이웃 종(種)이 있는데, 잎 모양과 꽃 색깔이 조금씩 다르다. 뿌리(塊莖)는 약에 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