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비엔나 소재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14일(현지시간) "북한이 오늘 영변 핵시설에 있는 IAEA 검증요원들에게 IAEA와의 모든 협력을 즉각 중단한다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 IAEA 홈페이지에 게시된 비드리케어 대변인 성명.
마크 비드리케어(Marc Vidricaire) IAEA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은 모든 봉인과 감시 장비 제거를 요청했으며 이에따라 IAEA 검증요원들이 더 이상 (핵)시설에 접근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검증요원들은 가능한 빨리 북한을 떠날 것을 요청받았다"고 덧붙였다. 

비드리케어 대변인은 또 "북한은 IAEA에게 모든 시설을 재가동하고 사용후 연료봉을 재처리하겠다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14일(현지시간) 워싱턴발 <연합뉴스>도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영변 핵 불능화 작업에 관여하고 있는 미국의 핵 전문가들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모니터 요원에게 북한을 떠날 것을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로버트 깁스(Robert Gibbs) 미 백악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핵 폐기를 위한 6자회담 불참을 선언하고, 핵프로그램의 재가동을 선언한 것은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심각한 행보"라며 도발적 위협행위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깁스 대변인이 "북한이 핵무기 추구를 검증가능하게 포기하지 않는 한 국제사회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임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북한은 14일 낮 외무성 성명을 통해 유엔안보리 의장성명을 규탄하고 "(6자) 회담에 다시는 절대로 참가하지 않을 것이며 6자회담의 그 어떤 합의에도 더이상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했다. 영변 핵시설을 원상복구하고 폐연료봉을 재처리하며 "주체적인 핵동력 공업구조를 완비하기 위하여 자체의 경수로 발전소 건설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IAEA 및 미측 검증요원들에 대한 추방은 이날 외무성 성명에 따른 후속조치인 셈이다.

IAEA와 미측 감시검증팀은 2007년 '2.13합의'에 따라 그 해 7월부터 영변에서 활동해 왔다. 지난해 8.26 북한이 미국의 테러지원국 해제 지연을 이유로 불능화 작업 중단을 발표한 데 따라 10.8~13까지 감시검증팀의 핵시설 접근이 금지된 바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